대학 생활에서 가장 많이 듣는 말 중 하나가 “이번 학기 평점 몇 점 나왔어?”일 겁니다.
학점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장학금·교환학생·취업까지 연결되는 중요한 지표죠.
그런데 매번 성적표를 받아 들고 수기로 계산하다 보면 번거롭고, 재수강·P/F 과목처럼 헷갈리는 요소도 많습니다.
이런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해 주는 것이 바로 학점계산기입니다.

목차
- 1. 왜 학점계산기를 써야 할까?
- 2. 학점계산기의 핵심 기능
- 3. 입력 순서와 주의사항
- 4. 자동 계산 정확도 높이는 팁
- 5. 4.5 vs 4.3 스케일 비교표
- 6. 자주 묻는 질문(FAQ)
1. 왜 학점계산기를 써야 할까?
- 정확성 – 자동 계산으로 인간 실수를 줄여줌
- 속도 – 한 학기 성적을 입력하면 바로 GPA 확인 가능
- 규정 반영 – 재수강·P/F 여부 등 학교 규칙 적용 가능
- 누적 관리 – 학기별·누적 GPA를 한눈에 비교 가능
즉, 동일한 성적이라도 1학점 과목보다 3학점 과목이 훨씬 더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2. 학점계산기의 핵심 기능
대부분의 학점계산기는 엑셀·구글 스프레드시트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어요.
기본 구조는 “과목명 – 학점 – 등급 – 평점” 네 가지 항목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GPA를 계산해 주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자료구조(3학점, A0), 글쓰기(2학점, B+), 확률통계(3학점, A+)를 입력하면,
총 가중점수를 합산해 GPA가 자동 산출됩니다.
3. 입력 순서와 주의사항
학점계산기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단순히 성적만 넣는 게 아니라
학교 규정 → 과목 입력 → 자동 계산의 순서를 따라야 합니다.
이 과정을 지키면 재수강, P/F, 전공 가중치 같은 세부 조건도 반영할 수 있습니다.
1) 학교 규정 확인
먼저 다니는 학교의 평점 스케일(4.3 / 4.5 / 4.0),
P/F 처리 여부,
재수강 성적 반영 방식을 확인하세요.
어떤 대학은 “가장 최근 성적만 반영”을 원칙으로 하고,
어떤 곳은 “평균 반영”을 적용하기도 합니다.
학점계산기를 세팅할 때 이 기준을 먼저 맞추는 게 중요합니다.
2) 과목명·학점·등급 입력
학점계산기 시트에는 과목명 / 전공·교양 구분 / 학점 / 등급을 입력합니다.
이때 등급은 A0, B+, C0 같은 문자열이지만 자동으로 평점으로 변환되도록
VLOOKUP 함수를 걸어두면 입력 시간이 단축됩니다.
- 전공/교양/자유선택 칸 구분
- 학점(credit) 숫자 입력
- 등급(letter) → 평점(point) 자동 변환
- 재수강 여부 체크박스(R)를 두어 규칙 자동 적용
3) 가중합·평균 자동 계산
평점에 학점을 곱한 가중점수를 합산하고,
이 값을 총 이수학점으로 나누면 학기별 GPA가 계산됩니다.
누적 GPA는 이전 학기 데이터까지 이어붙여 동일한 공식을 적용하면 됩니다.
전공 GPA를 따로 관리하려면 SUMIFS 또는 MAXIFS 함수로
전공 과목만 필터링해 계산하는 방식이 유용합니다.
✔️ 학교 스케일·재수강 규정부터 확인
✔️ 전공/교양 분리 입력, 등급→평점 자동 변환
✔️ 가중합(평점×학점) 합산 후 총학점으로 나누기
4. 자동 계산 정확도 높이는 팁
학점계산기를 단순 계산기로만 쓰면 안 됩니다.
함수와 검증 기능을 활용하면 입력 오류를 줄이고,
전공/재수강/PF 같은 복잡한 조건까지 반영할 수 있습니다.
- VLOOKUP / XLOOKUP : 등급(A0, B+, C0 등)을 평점으로 자동 변환
- 데이터 유효성 검사 : 입력 가능한 등급을 제한(A+, A0, B+ 등)
- SUMIFS / MAXIFS : 전공 GPA, 재수강 처리, P/F 제외 등 조건별 계산
- 필터 / 피벗 테이블 : 전공/교양/학기별 GPA 통계 한눈에 확인
반드시 소속 대학의 규정을 확인하세요.
5. 4.5 vs 4.3 스케일 비교표
한국 대학들은 주로 4.5 또는 4.3 스케일을 사용합니다.
교환학생·유학 시에는 4.0 스케일 변환이 필요한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학점계산기를 만들 때는 변환표를 따로 관리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항목 | 4.5 스케일 | 4.3 스케일 | 처리 팁 | 
|---|---|---|---|
| A+ | 4.5 | 4.3 | 환산표 별도 시트로 유지 | 
| P/F 과목 | 총학점 포함 | 총학점 포함 | 평점 합계 제외 | 
| 재수강 | 최근 성적 반영 多 | 학교별 상이 | MAXIFS로 중복 제거 | 
6. 자주 묻는 질문(FAQ)
학점계산기를 쓰면서 자주 받는 질문들을 정리했습니다.
Q1. 재수강하면 예전 성적은 어떻게 되나요?
→ 대부분 “최신 성적만 반영” 규정을 따릅니다. 다만 학교마다 상이할 수 있습니다.
Q2. P/F 과목은 GPA에 들어가나요?
→ 평점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총 이수학점에는 반영될 수 있습니다.
Q3. 4.5와 4.3 스케일을 섞어서 계산해도 되나요?
→ 권장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환산표를 만들어 일괄 적용하세요.
Q4. 전공 GPA와 누적 GPA를 동시에 볼 수 있나요?
→ 가능합니다. SUMIFS 함수를 활용해 전공만 필터링하세요.
Q5. 모바일에서도 계산할 수 있나요?
→ 가능합니다.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쓰면 스마트폰에서도 편집·자동 계산이 지원됩니다.
학점계산기를 꾸준히 업데이트하면, 학기말마다 허둥댈 필요가 없습니다.


